티스토리 뷰
728x90
건강운동관리사 자격증 및 시험일정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. 건강관리사는 체육 관련 종사자만 시험을 볼 수 있는 제약이 있습니다. 현대인들의 체력 저하와 노화, 운동 상해, 예방과 회복 등 전문 인력이 꼭 필요한 만큼, 새로 신설된 국가자격증입니다.
건강운동관리사 자격증 알아보기 목차

- 건강운동관리사란?
- 시험일정.
- 건강운동관리사 자격증 취득방법.
- 자격증 취득 후 진로.
1. 건강운동관리사란?
- 응시자격을 갖춘 자가 "국민체육공단"에서 시행하는 시험에 합격 후, 연수기관을 통해 연수과정을 마쳐야 취득할 수 있는 국가자격증입니다.
- 건강운동관리 사는 의사 또는 한의사 의뢰를 받아 운동 수행법을 지도, 관리할 수 있습니다.
-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급하는 운동처방 분야 자격증입니다.
- 기존 1급 생활체육지도자 기능을 수행하나, 자격요건이 대폭 낮아졌습니다.

2. 시험일정
- 2021년 건강운동관리사 시험일정표
- 시험 일정표 바로가기

3. 건강운동관리사 자격증 취득방법.
- 응시자격을 갖춘 자는 필기 -> 실기, 구슬 시험 -> 연수교육 이수 -> 자격증 교부 형태로 과정을 거칩니다.
- 연 1회 시험 실시.
- 자격 취득 기관
필기 검정기관 : 국민체육진흥공단
실기 및 구술 검정기관 : 국민체육진흥공단
연수기관 : 연세대, 부경대, 순천향대, 조선대 - 응시자격
만 18세 이상 / 아래 표의 각 요건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자격을 갖춘 자
응시자격 요약
자격종목 선수 3년 이상
자격종목 지도 3년 이상
체육학 학사 이상 취득자

- 시험과목
필기 8과목 : 객관식 4지선다, 160문항 (20문항 x 8과목)
기능해부학(운동역학 포함), 운동생리학, 스포츠심리학, 건강/체력평가, 운동 처방론, 병태생리학, 운동 상해, 운동부하검사.
합격기준 : 각 과목 만점의 40% 득점, 평균 60% 이상 득점.
실기, 구술시험
심폐소생술 / 응급처치, 건강/체력측정 평가, 춘 도트 레이닝 방법, 운동손상 평가 및 재활
합격기준 : 각각 만점의 70% 이상 득점. - 연수과정
연수대상자 : 실기, 구술평가시험 합격자.
연수시간 : 총 200 시간 (일반연수 120시간, 현장실습 80시간)
현장실습 장소 : 병원, 보건소 등 실습 지정 장소. - 연수내용 표

4. 자격증 취득 후 진로.
- 병원 및 국공립기관에서 근무할 수 있는 필수 자격요건입니다.
- 보건소 공무원 : 보건소 운동처방사 채용공고 시 기본 자격증이나, 채용인원이 많지 않다.
- 스포츠지도사, 노인병원, 장애인 복지센터, 특수학교, 유치원, 초등학교 전문지도사, 개인재활센터 등.
- 운동처방이 필요한 모든 분야.
댓글